250x250
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성선택
- 나만의주식5법칙
- 클라우드
- php
- 비밀번호변경
- 옹졸함
- Face Detection
- db
- OpenCV
- 지방사람이보는서울사람
- todolist
- git 업로드
- UPSERT
- delete
- Django
- Git
- 훌륭한모국어
- 네인생우습지않다
- MySQL
- 헬레나크로닌
- 꼭읽어봐야할책
- 독후감
- 일일투자금액
- 중용
- 서울로가자
- linux명령어
- Python
- 다산의마지막습관
- ChatGPT
- 공작과개미
Archives
- Today
- Total
Terry Very Good
[Flutter] 3. NOX를 활용한 Flutter Simulation 본문
728x90
반응형
녹스가 Android Simulator보다 빠른가보다.(이럴거면 처음부터 녹스깔던가;;)
1. 녹스 설치
https://kr.bignox.com/
2. VT 모드 켜짐 확인
3. 녹스 설정
일반 > ROOT 켜기
성능 > 성능설정 > 중(2Core CPU, 2048 MB)
> 그래픽 모드 > 기본모드
> 해상도는 스마트폰으로 > 해상도 가장 적은 것
>> 설정적용 누르고 재부팅
4. Nox 개발자모드로 변경
재부팅 후 폰화면이 뜨면 > 설정 > '빌드 번호' 검색 > '빌드 번호'를 여러번 누르면 개발자모드로 변함
[개발자 옵션] 메뉴 생기는데 들어가서 > USB 디버깅 활성화
5. Android Studio 연동
새 Flutter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준다.
Power Shell 접속한 뒤 녹스 설치 경로(D:\Program Files\Nox\bin)로 들어간 다음, ".\nox_adb.exe devices" 를 친다.
> 나온 결과가 아래와 같이 127.0.0.1:62001이 있는 것을 확인
근데 매번 연동을 이렇게 하려면 귀찮으니까, bat파일로 만들어 실행하자
"D:\Program Files\Nox\bin\nox_adb.exe" connect 127.0.0.1:62001
pause
6. 완성
SM G977N이 등록된 것을 볼 수 있고, 빌드 후에
몰라 ;; 다 해놓고 느낀 거지만 난 왜 Chrome이 더 편한데 ;;
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밍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5. 반응형 농장 소개 페이지 만들기 (0) | 2022.03.13 |
---|---|
[Flutter] 4. Web Porting 방법 (0) | 2022.03.12 |
[Flutter] 2. 기본예제로 flutter 구현법 파악하고, 익히기 (0) | 2022.03.12 |
[Flutter] 1. 개발 환경 설치(Window Version) (0)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