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4장 미章(지미장)
4. 知味章(지미장):
子曰 道之不行也 我知之矣
자왈 도지불행야 아지지의
知者過之 愚者不及也
지자과지 우지불급야
道之不明也 我知之矣
도지불명야 아지지의
賢者過之 不肖者不及也
현자과지 불초자불급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도(道)가 행하여 지지 않는 것을 나는 알고 있다.
지혜로운 자는 지나치고, 어리석은 자들은 미치지 못한다.
도(道)가 밝히어지지 않을 것을 나는 알고 있다.
현명한 자는 지나치고, 못난 자들은 미치지 못한다.
之(지: 가, 이 / 가다, 쓰다) / 行(행:행할, 유행하다, 뻗다) / 也(야: 또한, 역시) /
知(지:지혜) / 賢(현: 존경, 넉넉) / 過(과: 지나칠, 넘칠) / 肖(초: 본받을)
---해석---
도가 행하여지지 않는 이유는
'지혜로운자'는 도를 넘어서서 치달려가려고만 하고(분수를 넘어가길 잘하고),
'불초한자'는 마음이 천한 곳으로 쏠려 미치치 못하기 때문이다.(아예 미치지 못한다.)
人莫不飮食也 鮮能知味也
인막불음식야 선능지미야
사람이면 마시고 먹지 않는 이가 없지만, 능히 그 맛을 잘 아는 이도 드물다.”
라고 했다.
莫(막:없을) / * 鮮(선:적을, 드물)
---해석---
이 문장이 없었더라면 知者過之 愚者不及也 / 賢者過之 不肖者不及也만을 따라서 "중용은 과하지도 않고, 부족하지도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에 그칠 수 있다. 허나 중용은 과하고 부족함을 염려하여 소극적인 자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용을 행함'의 '맛'을 아는 심미적 경지에 이르러야한다는 '적극적이어야 함'을 말하는 듯 하다.
중용의 핵심이 '과유불급'이나, 그것을 넘어서 '맛'을 제대로 아는 자가 도통한 사람이다. 맛은 감성과 이성을 매개하여 융합하는 것이다. 맛은 예술/인품/문학/과학 그 모든 것에 적용된다. 많이 알수록 많이 그리고 효율적으로 느낄 수 있다. 여러 분야에 배움을 그치지 않아야 중의 맛을 잘, 그리고 효율적으로 느끼며 지속적인 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