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문/책

중용 12장 夫婦之愚章(부부지우장)

테리베리 2021. 3. 6. 13:35
728x90
반응형

12. 夫婦之愚章(부부지우장):

君子之道費而隱
군자지도비이은

군자의 도는 광대하면서도 은미하다.
(군자의 도는 쉽게 드러나 누구나 아는 것이지만 꼭꼭 숨어 누구도 모르는 것이기도 하다.)

 

夫婦之愚可以與知焉 及其至也雖聖人亦有所不知焉
부부지우가이여지언 급기지야수성인역유소부지언

부부(평범한 남여, 서민)의 어리석음(우매함)으로도 가히 함께 알 수 있는 것이지만,
그 지극함에 이르러서는 비록 성인(지혜와 덕이 뛰어난 사람)이라 하더라도 알지 못한다.

 

夫婦之不肖可以能行焉 及其至也雖聖人亦有所不能焉
부부지불초가이능행언 급기지야수성인역유소불능언

부부의 불초(부족)함으로도 가히 행할 수 있는 것이지만,
그 지극함에 미쳐서는 비록 성인이라 하더라도 할 수 없다.

 

天地之大也人猶有所憾 故君子語大天下莫能載焉語小天下莫能破焉
천지지대야인유유소감 고군자어대천하막능재언어소천하막능파언

천지는 크고도 예측불허하지만, 사람들은 한(섭섭함)이 되는 바가 있다.
(천지의 위대함과는 다르게 인간은 언짢게 여기거나 섭섭해하는 마음이라는 것이 있다.)

그러므로 큰 것을 말하면(큰 관점에서 도리를 보자면) 천하로도 실을 수 없고(천하에 담아도 다 담을 수 없을 정도로 크고),
작은 것을 말하면(작고 사소/사세한 관점에서 도리를 보자면) 천하로도 깨뜨릴 수가 없게 된다(그 큰 천하조차도 쪼갤 수 없게 된다).
(사람의 마음이란 것이.. 하하)

 

詩云 "鳶飛戾天魚躍于淵" 言其上下察也
시운 "연비려천어약우연" 언기상하찰야

시경에 이르기를, "솔개는 하늘에 닿을 듯 날고, 물고기는 못에서 도약을 하는구나."라고 하였으니,

 

君子之道造端乎夫婦 及其至也察乎天地
군자지도조단호부부 급기지야찰호천지

군자의 도는 필부필부에서 발단되나
그 지극함에 이르러서는 천지에 드러난다.

 

君子 依乎中庸 遯世不見知而不悔 唯聖者 能之
군자 의호중용 돈세불견지이불회 유성자 능지

군자는 중용을 따라 살며 세상에 은둔하여 (사람들에게) 인정받지 못하더라도 후회하지 않으니,
오직 성인이라야 능(이렇게 할 수 있다)하느니라.

遯 : 피할 돈(둔), 은둔할 돈(둔)(주역 괘명일 때는 ‘돈’, 세상을 피한다는 뜻의 遯世는 '돈세'로 읽는다.)

 

---해석---

중용을 행하고, 사용하는 곳은 천하를 다스리는 등의 중대하고도 막중한 일들이라 생각하지만, 실상은 부부지간에서부터 시작된다라고 하셨다. 중용의 자세를 일상의 소소하면서도 당연한 것들에서부터 갖추어야 하고, 그 예를 부부지간으로 들어서 오히려 나에게는 더욱이 와닿았다. 하지만, 천지의 크기와는 다르게 인간의 마음은 좁고, 천지의 예측불허함을 이미 알면서도 인간의 마음은 작은 것 하나에도 토라지기 십상(十常)이다. 솔개는 하늘을 닿을 듯 날고, 물고기는 바다 위를 도약하듯 나는 것처럼, 우리도 일상의 작은 것 하나하나에 정성을 다하여 중용을 행한다면, 그 지극함이 이르러서는 천하에 드러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하지만, 천하에 드러나지 않더라도, 속상하거나 못마땅하지 말아야한다. 너무나도 당연하지만, 혹여 천하에 드러나지 못해 불편하다면, 그 중용은 '얻고자하는 욕심'에서 비롯한 것임으로 '중용'이라 할 수 없다. 

728x90
반응형